반응형

퍼블리싱 로그/IT 5

웹 퍼블리셔 vs 프론트엔드 개발자

웹 퍼블리셔 vs 프론트엔드 개발자, 무엇이 다를까? 같은 듯 다른 두 역할, 정확하게 구분하기 용어 혼용이 부른 혼란, 웹 퍼블리셔와 프론트엔드는 다르다웹 업계에서 가장 자주 혼동되는 역할 중 하나가 바로 웹 퍼블리셔와 프론트엔드 개발자입니다. 실제 현업에서도 이 둘의 경계를 명확히 이해하지 못해 채용 공고나 업무 지시에서 혼란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중소규모 기업에서는 한 사람이 퍼블리싱과 프론트 개발을 모두 담당하기도 하면서, 구분이 더 모호해지곤 합니다.그러나 이 둘은 업무의 중심 영역과 기술 스택, 협업 방식에서 분명한 차이가 존재합니다. 요약하자면,웹 퍼블리셔는 디자인을 웹페이지로 구현하는 역할프론트엔드 개발자는 기능을 웹에 구현하는 역할입니다.퍼블리셔는 HTML/CSS를 중심으로 시..

웹 퍼블리셔란?

웹 사이트의 뼈대를 구축하는 전문가의 정체 웹 퍼블리셔는 코딩만 하는 사람이 아니다웹 퍼블리셔(Web Publisher)라는 직업명을 들으면 ‘그냥 코딩하는 사람 아닌가요?’라는 질문을 종종 받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웹 퍼블리셔는 단순한 코딩을 넘어, 디자인 시안을 구현하면서도 웹 표준, 접근성, 반응형 대응, 사용자 경험(UX), SEO까지 고려하는 종합적인 역할을 맡습니다. 다시 말해, ‘보이는 화면을 책임지는 기술자’가 아닌, 디자인과 기술 사이를 잇는 다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웹 퍼블리셔는 주로 디자이너가 제공한 시안을 HTML/CSS/JavaScript 등으로 구현합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단순히 모양을 똑같이 재현하는 것이 아닌, 의도한 디자인을 다양한 환경에서 일관되게 표현하고, 유지보..

RIA(Rich Internet Application)란?

플래시 애니메이션 기술과 웹 서버 애플리케이션 기술을 통합하여 기존 HTML보다 역동적이고 인터랙티브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신개념의 플래시 웹페이지 제작 기술. 다양한 컴포넌트가 추가된 플래시(Flash)와 플렉스(Flex) 같은 멀티미디어 도구와 데이터베이스가 연동되는 단일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존의 웹에서는 볼 수 없었던 다이나믹하고 편리한 고객 중심의 웹페이지가 제공된다. 2001년 매크로미디어사가 플래시 MX 저작툴을 통해 처음 선보인 이후 쇼핑몰이나 대고객 웹서비스, 포탈 등을 중심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다. 원래 RIA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일종으로 통상적인 데스크톱 응용의 기능과 특징을 유사하게 갖는 형태를 말한다. MS의 원격스크립팅, SUN의 자바, 매크로미디어의 X-인터넷, AJAX 등도 R..

모바일 웹과 앱(어플)의 차이점!

모바일 웹과 앱(어플)의 차이점! 헛갈리기 쉬운 모바일 웹과 앱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모바일 웹(WEB)은 말그대로 Webpage 입니다. 즉, 모바일웹=홈페이지 입니다. 아래의 캡처사진을 보면 모바일웹처럼 모바일에 맞게 만들어진 홈페이지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모바일 앱(APP)는 Application 어플리케이션입니다. 즉, 앱=프로그램입니다. 게임같이 설치하여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앱에 해당합니다 간단하게 모바일 앱과 웹의 차이를 표로 보여드리 겠습니다. 모바일 앱(APP/Application) 모바일 웹(WEB/Webpage) 개발환경 안드로이드,IOS 등의 각 플랫폼에 맞는 언어 HTML,HTML5,Javascript,CSS 등 업데이트 수정하여 서버에 적용되는 시간까지의 시간 소요, ..

네이티브? 모바일웹? 웹뷰?

네이티브앱은 소스코드가 html이 아니고 swift, objective c, kotlin, java입니다. 웹뷰(= 하이브리드앱)는 소스코드가 html처럼 보이긴 하는데 프로젝트 폴더 안에 ios를 위한 네이티브 코드, 안드로이드를 위한 네이티브 코드가 섞여 있습니다. 소스코드에 다른 플랫폼은 위한 추가코드가 일절 없고 html만 있으면 웹앱입니다. 멀티플랫폼앱이란것도 있는데, 얘는 소스코드를 보면 dart언어이거나 혹은 얼핏보면 js같은 리액트 네이티브로 작성돼 있습니다 ** 검색앤진 참조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