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pt마크업 7

웹퍼블리셔를 위한 GPT 기반 마크업 자동화 실습(2) - 템플릿 프롬프트 모음

실무용 GPT 마크업 프롬프트 모음 복붙해서 바로 ChatGPT에 입력하세요!목적별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기본 레이아웃 템플릿 요청- 반응형 3단 카드 리스트Tailwind CSS로 반응형 3단 카드 UI를 만들어줘.PC에서는 3개, 태블릿은 2개, 모바일은 1개씩 보이게 하고, 각 카드에는 이미지, 제목, 버튼이 포함되어야 해.- 그리드 기반 레이아웃그리드 시스템을 활용해서 좌측 사이드바와 우측 콘텐츠 영역으로 나뉜 반응형 레이아웃 HTML을 Tailwind CSS로 작성해줘. 사이드바는 고정이고, 콘텐츠 영역은 스크롤 가능해야 해. 인터랙션 요소 요청- 탭 UI 구조 웹페이지 상단에 탭 UI를 만들고 싶어. 탭은 3개(공지사항, 이벤트, FAQ)이고, 클릭 시 해당 내용이 아래에 보이도록 해줘. 접..

웹퍼블리셔를 위한 GPT 기반 마크업 자동화 실습(1)

웹퍼블리셔의 업무 변화, AI 시대에 접어들다 GPT 도입 배경과 웹 퍼블리셔의 변화최근 웹 환경의 변화는 단순한 마크업 작업을 넘어 복잡한 반응형 UI 구성, 접근성 대응, 컴포넌트 구조화 등 고도화된 퍼블리싱 능력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현업에서는 정형화된 HTML 구조나 반복적인 작업이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ChatGPT를 포함한 생성형 AI는 웹 퍼블리셔의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실질적인 도구로 부상하고 있습니다.웹 퍼블리셔는 흔히 "디자인 가이드를 코드로 구현하는 사람"으로 정의되곤 합니다. 그러나 실무에서는 디자인 해석부터 크로스 브라우징, 반응형 대응, 웹 접근성 준수까지 요구되는 범위가 매우 넓습니다. 특히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는 일정 압박..

시멘틱 구조 자동화 vs 수작업: 생산성과 품질 비교

시멘틱 마크업의 중요성과 자동화의 부상웹 접근성과 SEO 최적화를 위해 HTML5 시멘틱 태그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 , , , 와 같은 태그는 사용자와 검색엔진 모두에게 웹페이지의 구조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스크린리더 사용자나 키보드 네비게이션 사용자에게는 시멘틱 구조가 콘텐츠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탐색할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이러한 흐름 속에서 최근에는 GPT나 Copilot, Emmet과 같은 자동화 도구들이 시멘틱 마크업 작업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 빠르게 자리잡고 있습니다. HTML 구조를 이해하고, 상황에 맞는 시멘틱 태그를 제안하거나 자동 완성해주는 기능은 작업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여주죠. 실제로 많은 프론트엔드 개발자와 퍼블리셔들은 반복적인 구조 마..

시안부터 마크업까지 AI ChatGPT로 처리하기(1)

퍼블리셔의 역할, 변화가 시작되다기존의 웹 퍼블리싱 프로세스는 명확한 분업 구조를 갖고 있었다. 디자이너가 시안을 만들고, 퍼블리셔는 그 시안을 토대로 HTML과 CSS 마크업을 진행한다. 하지만 이 구조는 반복 작업이 많고, 작은 변경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소규모 프로젝트에서는 디자인, 퍼블리싱, 프론트 개발까지 한 명이 모두 처리해야 하는 경우도 흔하다. 이런 환경에서 AI 도구는 효율을 크게 높이는 해결책이 될 수 있다. ChatGPT, DALL·E, Figma AI 등은 텍스트 기반 명령만으로 시안 생성, 마크업 코드 출력, UI 구성 제안까지 가능하게 한다. 이번 실험은 그런 도구들을 활용해 "디자인부터 마크업까지의 전 과정을 얼마나 자동화할 수 있는가"를 퍼블리셔 관점에서 직접 수..

디자인 없이 코딩하는 시대? 퍼블리셔를 위한 AI 디자인 흐름

디자인 없는 시대의 도래: 퍼블리셔의 역할은 어디로?웹사이트나 앱을 만들기 위해선 전통적으로 디자이너가 시안을 만들고, 퍼블리셔나 개발자가 이를 코드로 구현하는 과정을 거쳐야 했다. 하지만 최근 AI 기술의 발전으로, 이러한 워크플로우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GPT와 같은 생성형 AI와 Figma AI, Uizard, Galileo AI 등의 도구들이 등장하면서, 디자인 시안 없이도 즉시 마크업과 스타일을 생성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이로 인해 '디자인 없는 코딩'이라는 개념이 현실로 다가왔다.퍼블리셔 입장에서 이러한 변화는 위기이자 기회다. 단순히 디자이너의 지시를 받아 마크업을 구현하던 시대에서 벗어나, 퍼블리셔가 직접 UX 흐름과 화면 설계를 주도하는 역할로 확장될 수 있다. 특히..

Markdown에서 GPT 와이어프레임, 코드 확인 방법

Markdown Mermaid 다이어그램 확인하기GPT가 생성한 Mermaid.js 구조 예시:```mermaid graph TD A[로그인 페이지] --> B[대시보드] B --> C[설정 페이지]```▶︎ 확인 가능한 환경:Mermaid Live Editor ← 붙여넣기만 하면 즉시 확인 가능Notion: 설정 → Labs → Mermaid 지원 켜기Obsidian, Typora, VS Code (Mermaid 플러그인 설치 필요)GitHub: 최근에는 일부 Mermaid 지원 (gist나 .md 파일에서 확인 가능 HTML/Tailwind 코드 확인하기GPT가 만든 HTML 코드는 다음과 같이 Markdown에 삽입합니다:```html 왼쪽 오른쪽 ``` 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