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웹 3

웹 퍼블리셔란?

웹 사이트의 뼈대를 구축하는 전문가의 정체 웹 퍼블리셔는 코딩만 하는 사람이 아니다웹 퍼블리셔(Web Publisher)라는 직업명을 들으면 ‘그냥 코딩하는 사람 아닌가요?’라는 질문을 종종 받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웹 퍼블리셔는 단순한 코딩을 넘어, 디자인 시안을 구현하면서도 웹 표준, 접근성, 반응형 대응, 사용자 경험(UX), SEO까지 고려하는 종합적인 역할을 맡습니다. 다시 말해, ‘보이는 화면을 책임지는 기술자’가 아닌, 디자인과 기술 사이를 잇는 다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웹 퍼블리셔는 주로 디자이너가 제공한 시안을 HTML/CSS/JavaScript 등으로 구현합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단순히 모양을 똑같이 재현하는 것이 아닌, 의도한 디자인을 다양한 환경에서 일관되게 표현하고, 유지보..

AI ChatGPT로 접근성 마크업 적용하기(1)

AI로 접근성 마크업 적용하기: aria-label부터 role까지 접근성 마크업, 왜 중요할까?접근성(accessibility)은 단순히 시각·청각 장애인을 위한 고려사항을 넘어, 모든 사용자에게 정보와 기능을 동등하게 제공하기 위한 웹의 기본 원칙입니다. 최근 구글을 비롯한 주요 검색엔진, 정부 기관, 글로벌 브랜드들이 접근성을 SEO 및 UI/UX의 핵심 요소로 인식하면서, 접근성 마크업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웹 접근성의 핵심은 HTML의 시맨틱 구조와 보조 기술이 이해할 수 있는 명확한 라벨링입니다. 이를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aria-* 속성과 role 속성입니다. 하지만 퍼블리셔 입장에서 이 속성들을 매 페이지마다 정확히 적용하기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사용처, 사용 방..

ChatGPT로 모바일/PC 대응 레이아웃 만들기

반응형 웹 레이아웃, 왜 중요한가?모바일 기기의 폭발적인 증가와 다양한 해상도의 등장으로 인해, 이제 웹사이트는 단순히 "PC 전용" 또는 "모바일 전용"으로 구분할 수 없습니다. 사용자 경험(UX)을 고려한 반응형 웹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고, 구글 애드센스 승인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실제로 Google은 모바일 최적화가 되어 있지 않은 사이트에 대해 낮은 품질 점수를 부여하며, 이는 광고 승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반응형 웹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화면 너비를 고려한 HTML 구조와 CSS 미디어쿼리 작성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모든 뷰포트 상황을 코드로 대응하기란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작업입니다. 이때 ChatGPT와 같은 AI 도구를 활용하면, 실무 수준의 반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