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게시판 마크업, 여전히 직접 코딩하시나요?

퍼블리셔 또는 개발자들이 가장 많이 마주하는 UI 중 하나가 바로 "게시판"입니다. 목록형 UI로 구성된 블로그형 게시판은 공지사항, 글 목록, 질문답변 리스트 등 여러 형태로 사용되며, 구조적으로는 단순하지만 자주 반복되는 작업입니다. 특히 HTML/CSS 마크업을 기반으로 테이블이나 리스트 기반 구조를 수작업으로 구성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반복적인 비효율이 발생하곤 합니다.

이제는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를 통해 이러한 반복 작업을 빠르게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 스타일 게시판 목록 마크업 만들어줘. 제목, 작성일, 작성자, 조회수 포함해서 작성해줘”라고 입력하면, GPT는 바로 실용적인 HTML 구조를 제시해줍니다. 이러한 접근은 실무에 즉시 적용 가능하며, UI 설계 및 프로토타이핑 단계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GPT로 빠르게 만드는 블로그 게시판

 

 

GPT를 활용한 기본 게시판 마크업 예제

실제 GPT에게 다음과 같이 요청해 보겠습니다:

 

GPT 프롬프트: 

“HTML로 게시판 목록 마크업 만들어줘. 각 행에 글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수를 포함해줘. Tailwind CSS 클래스도 함께 적용해줘.”

 

GPT가 생성한 코드는 다음과 같이 나올 수 있습니다:

GPT 응답:

<table class="w-full text-sm text-left border border-gray-200">
  <thead class="bg-gray-100">
    <tr>
      <th class="p-2">제목</th>
      <th class="p-2">작성자</th>
      <th class="p-2">작성일</th>
      <th class="p-2">조회수</th>
    </tr>
  </thead>
  <tbody>
    <tr class="hover:bg-gray-50">
      <td class="p-2 text-blue-600 underline cursor-pointer">GPT 활용법 정리</td>
      <td class="p-2">해달 임</td>
      <td class="p-2">2025-07-07</td>
      <td class="p-2 text-center">312</td>
    </tr>
    <!-- 반복 항목 -->
  </tbody>
</table>

 

이 구조는 블로그 게시판에 자주 사용되는 컬럼 구성을 따르고 있으며, Tailwind CSS 기반으로 빠르게 스타일링도 적용되었습니다. 여기에 hover, underline, cursor-pointer 같은 유틸리티 클래스를 통해 사용자 친화적인 UI를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thead와 tbody의 구분을 통해 접근성과 SEO 측면에서도 구조적인 이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GPT를 잘 활용하면 이와 같은 마크업을 몇 초 만에 생성하고, 디자인 시스템 또는 UI 가이드에 맞게 클래스 명을 맞추거나 반응형 구조로 확장도 가능합니다.


실무에서 바로 쓰는 다양한 게시판 UI 패턴

게시판 마크업은 하나의 형태로만 존재하지 않습니다. 프로젝트 요구사항에 따라 카드형(Card Type), 리스트형(List View), 테이블형(Table View), 모바일 전용 Accordion UI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됩니다. GPT는 이러한 변화에도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스타일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반응형 카드형 게시판 만들어줘. 각 카드에는 썸네일, 제목, 요약 텍스트, 작성자, 날짜가 포함되어야 해"라고 하면 다음과 같이 생성됩니다:

 

GPT 응답: 

<div class="grid md:grid-cols-3 gap-4">
    <div class="border p-4 rounded shadow hover:shadow-md">
        <img src="/img/thumb.jpg" alt="썸네일" class="w-full h-40 object-cover rounded mb-2" />
        <h3 class="text-lg font-bold">GPT 마크업 자동화</h3>
        <p class="text-sm text-gray-600 mb-2">ChatGPT를 활용한 반복 작업 자동화 방법</p>
        <div class="text-xs text-gray-400">해달 임 · 2025-07-07</div>
    </div>
    <!-- 반복 카드 -->
</div>

 

카드형 UI는 블로그, 포트폴리오, 쇼핑몰 등에서 폭넓게 활용되며, GPT는 구조적으로 완성도 높은 예제를 즉시 제공할 수 있습니다. 퍼블리셔는 이 마크업을 기반으로 사용자 요구에 맞게 디자인을 수정하거나 콘텐츠 연동만 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눈에 띄게 향상됩니다. 또한, 반응형 키워드를 포함하면 미디어쿼리나 grid 시스템도 자동 반영되는 경우가 많아 실무 활용도가 높습니다.


마크업 자동화가 가져다주는 실질적인 변화

GPT를 활용한 게시판 마크업 자동화는 퍼블리셔 또는 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 단순한 시간 절약 이상의 효과를 줍니다.
가장 큰 변화는 **"처음부터 끝까지 코드를 내가 다 짜야 한다"**는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입니다.
AI가 생성해주는 마크업은 퍼블리셔의 경험을 기반으로 커스터마이징만 하면 바로 쓸 수 있는 수준이기 때문에, 반복 작업에서 오는 소모를 줄이고 기획/UX/접근성 개선 등 더 고차원적인 작업에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

물론, 생성된 코드가 항상 완벽하지는 않기 때문에 실제 환경에서는 디자인 시스템, 접근성 가이드, 브라우저 대응 등을 고려해 최종 검수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그 시작점을 빠르게 확보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프로젝트의 속도와 효율성은 크게 향상됩니다.
특히 GPT를 조직 내부 템플릿 작성이나 컴포넌트 표준화 작업에 활용하면 디자인-퍼블리싱 간 협업 효율도 극대화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퍼블리싱은 “코드를 잘 짜는 사람”보다 “AI를 잘 활용하는 퍼블리셔”가 더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는 시대입니다.
단순 작업은 GPT에게 맡기고, 퍼블리셔는 더 전략적이고 창의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방향으로 실무가 변화하고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