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7 19

웹퍼블리셔를 위한 GPT 기반 마크업 자동화 실습(2) - 템플릿 프롬프트 모음

실무용 GPT 마크업 프롬프트 모음 복붙해서 바로 ChatGPT에 입력하세요!목적별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기본 레이아웃 템플릿 요청- 반응형 3단 카드 리스트Tailwind CSS로 반응형 3단 카드 UI를 만들어줘.PC에서는 3개, 태블릿은 2개, 모바일은 1개씩 보이게 하고, 각 카드에는 이미지, 제목, 버튼이 포함되어야 해.- 그리드 기반 레이아웃그리드 시스템을 활용해서 좌측 사이드바와 우측 콘텐츠 영역으로 나뉜 반응형 레이아웃 HTML을 Tailwind CSS로 작성해줘. 사이드바는 고정이고, 콘텐츠 영역은 스크롤 가능해야 해. 인터랙션 요소 요청- 탭 UI 구조 웹페이지 상단에 탭 UI를 만들고 싶어. 탭은 3개(공지사항, 이벤트, FAQ)이고, 클릭 시 해당 내용이 아래에 보이도록 해줘. 접..

웹퍼블리셔를 위한 GPT 기반 마크업 자동화 실습(1)

웹퍼블리셔의 업무 변화, AI 시대에 접어들다 GPT 도입 배경과 웹 퍼블리셔의 변화최근 웹 환경의 변화는 단순한 마크업 작업을 넘어 복잡한 반응형 UI 구성, 접근성 대응, 컴포넌트 구조화 등 고도화된 퍼블리싱 능력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현업에서는 정형화된 HTML 구조나 반복적인 작업이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ChatGPT를 포함한 생성형 AI는 웹 퍼블리셔의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실질적인 도구로 부상하고 있습니다.웹 퍼블리셔는 흔히 "디자인 가이드를 코드로 구현하는 사람"으로 정의되곤 합니다. 그러나 실무에서는 디자인 해석부터 크로스 브라우징, 반응형 대응, 웹 접근성 준수까지 요구되는 범위가 매우 넓습니다. 특히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는 일정 압박..

웹 퍼블리셔 vs 프론트엔드 개발자

웹 퍼블리셔 vs 프론트엔드 개발자, 무엇이 다를까? 같은 듯 다른 두 역할, 정확하게 구분하기 용어 혼용이 부른 혼란, 웹 퍼블리셔와 프론트엔드는 다르다웹 업계에서 가장 자주 혼동되는 역할 중 하나가 바로 웹 퍼블리셔와 프론트엔드 개발자입니다. 실제 현업에서도 이 둘의 경계를 명확히 이해하지 못해 채용 공고나 업무 지시에서 혼란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중소규모 기업에서는 한 사람이 퍼블리싱과 프론트 개발을 모두 담당하기도 하면서, 구분이 더 모호해지곤 합니다.그러나 이 둘은 업무의 중심 영역과 기술 스택, 협업 방식에서 분명한 차이가 존재합니다. 요약하자면,웹 퍼블리셔는 디자인을 웹페이지로 구현하는 역할프론트엔드 개발자는 기능을 웹에 구현하는 역할입니다.퍼블리셔는 HTML/CSS를 중심으로 시..

웹 퍼블리셔란?

웹 사이트의 뼈대를 구축하는 전문가의 정체 웹 퍼블리셔는 코딩만 하는 사람이 아니다웹 퍼블리셔(Web Publisher)라는 직업명을 들으면 ‘그냥 코딩하는 사람 아닌가요?’라는 질문을 종종 받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웹 퍼블리셔는 단순한 코딩을 넘어, 디자인 시안을 구현하면서도 웹 표준, 접근성, 반응형 대응, 사용자 경험(UX), SEO까지 고려하는 종합적인 역할을 맡습니다. 다시 말해, ‘보이는 화면을 책임지는 기술자’가 아닌, 디자인과 기술 사이를 잇는 다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웹 퍼블리셔는 주로 디자이너가 제공한 시안을 HTML/CSS/JavaScript 등으로 구현합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단순히 모양을 똑같이 재현하는 것이 아닌, 의도한 디자인을 다양한 환경에서 일관되게 표현하고, 유지보..

웹 퍼블리셔가 자주 쓰는 구조를 AI로 템플릿화하기

퍼블리셔의 반복 작업, AI로 효율화할 수 있을까?웹 퍼블리셔의 주요 업무는 디자이너가 제공한 시안을 바탕으로 HTML, CSS, JavaScript 등을 이용해 웹페이지를 구현하는 일입니다. 하지만 실제 현업에서는 시안과 무관하게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패턴화된 구조’들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카드형 리스트, 아코디언, 탭 UI, 모달, 테이블 정렬, 페이지네이션 같은 컴포넌트는 거의 모든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며, 이 구조들은 퍼블리셔가 매번 새로 코딩하기보다는 일정한 템플릿을 가지고 빠르게 작업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이러한 반복 구조를 AI, 특히 ChatGPT를 통해 자동화하고 템플릿화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실제 현장에서 쓰이는 마크업 패턴들을 정리하고, 이를 프롬프트로 구성하면 ChatGPT가 실..

GPT로 빠르게 만드는 블로그 게시판 마크업

블로그 게시판 마크업, 여전히 직접 코딩하시나요?퍼블리셔 또는 개발자들이 가장 많이 마주하는 UI 중 하나가 바로 "게시판"입니다. 목록형 UI로 구성된 블로그형 게시판은 공지사항, 글 목록, 질문답변 리스트 등 여러 형태로 사용되며, 구조적으로는 단순하지만 자주 반복되는 작업입니다. 특히 HTML/CSS 마크업을 기반으로 테이블이나 리스트 기반 구조를 수작업으로 구성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반복적인 비효율이 발생하곤 합니다.이제는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를 통해 이러한 반복 작업을 빠르게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 스타일 게시판 목록 마크업 만들어줘. 제목, 작성일, 작성자, 조회수 포함해서 작성해줘”라고 입력하면, GPT는 바로 실용적인 HTML 구조를 제시해줍니다. 이러한 ..

반응형